
대한민국경제신문 관리자 기자 |
충남도가 청년농들이 스마트팜을 통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
도 농업기술원은 스마트팜 종합 지원의 일환으로 ‘2024년 제2차 청년 스마트팜 창농 지원 인증’ 신청을 이달 27일까지 접수한다고 6일 발표했다.
청년 스마트팜 창농 지원 인증 제도는 청년농의 유입과 정착을 촉진하기 위해 스마트팜 경영 능력을 사전에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2차 인증에서는 기존 스마트팜 창농 예정자뿐만 아니라, 시설하우스에서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현업농’을 위한 인증 분야도 신설되었다.
또한, 청년농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팜 현장 실습의 의무 기준이 완화되었다. 창업농은 전문 교육 100시간과 현장 실습 300시간을 이수해야 하며, 현업농은 전문 교육 60시간과 현장 실습 300시간을 이수하되, 자가 영농 2년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인증 신청 자격은 도내 주소를 두고 실제 거주 중이거나, 도내 전입을 확약한 18세에서 44세(1980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 사이 출생)의 예비 청년농업인으로, 전문 교육과 현장 실습 등의 의무 기준을 충족하고, 5개년 영농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심사는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영농 비전, 성장 가능성, 개인 역량 등을 평가하여 진행된다.
인증을 받은 청년농은 도지사 명의의 인증서를 수여받고, 청년 자립형 스마트팜 지원 사업에 신청할 자격이 주어진다. 이와 함께 다양한 청년농 및 스마트팜 관련 시범 사업의 혜택도 제공될 예정이다.
신청은 도내 거주자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담당 부서에, 도외 거주자는 도 농업기술원이나 교육기관 등에서 진행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및 도 농업기술원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도 농업기술원 스마트인재팀에 문의하면 된다.
김영도 농업기술원장은 “스마트팜 창농의 중심지인 충남에서는 열정 있는 청년들에게 교육부터 창농까지 원스톱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전국의 우수 인재들이 충남에서 역량을 인정받고 정착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니, 청년농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